Dog君 Blues...
아무도 아닌 (황정은, 문학동네, 2016.) 본문
1. 소설을 읽고 나서, 그 소설에 대해서 말하고 쓰는 건 (나한테는) 참 어려운 일이다. 읽다 보면 '와 이거 참 좋다'는 느낌까지는 드는데, 그게 왜 좋은지 설명하려고 하면 말문이 막힌다. 그나마 역사 공부 좀 했답시고 역사책에 대해서는 그게 좀 되는데, 소설은 읽은지 얼마 되지도 않고 읽은 책도 많지 않아서 그런지 말이나 글로 뭐라뭐라 말을 보태기가 참 어렵다. 좋다는 느낌은 직관의 영역이지만 왜 좋은지를 설명하는 것은 비평의 영역이라서 그런가보다.
2. 황정은 소설을 퍽 좋아하는 편이다. 가끔 생각날 때마다 이름을 검색해서 신간이 나오면 빠짐없이 사서 보는 편이다. 무슨 뭐 독자와의 대화에 참석한다거나 예약 구매를 한다거나 인터뷰 기사를 챙겨 읽는다거나 하는 정도까지는 아니지만, 그가 쓴 글이 책으로 엮여 나오는 것 정도는 챙겨 읽는다. 물론 그의 글이 왜 좋은지 설명할 능력은 여전히 없다.
3. 소설을 읽을 때는 가능한 마음을 편하게 가지려고 노력한다. 글의 구조라거나 논리적 연결고리 같은 것들을 생각하지 않고, 그냥 문장 하나하나를 읽으면서 그 기분에 빠지려고 애쓴다고나 할까. (그런 긴장감은 역사책 읽을 때 가지는 걸로 충분하니까.)
4. 비루한 삶과 끝나버린 사랑에 대해 덤덤하게 써내려간 황정은의 문장을 읽고 있으면, 뭐랄까... 어느 토요일 아침 느지막히 늦잠에서 일어나 한 4년쯤 전에 헤어져서 이제는 가슴이 아프지도 생각이 나지도 않는 옛 연인과의 기억을 떠올리는 느낌 비슷한 것이 든다. 그냥, 어쩐지, 별 이유 없이, 그냥 그 느낌이 좋아서, 황정은의 문장을 읽는다.
'잡冊나부랭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코다 이발소 (오쿠다 히데오, 북로드, 2017.) (0) | 2017.01.30 |
---|---|
단군, 만들어진 신화 (송호정, 산처럼, 2004.) (13) | 2017.01.30 |
나는 농담이다 (김중혁, 민음사, 2016.) (0) | 2016.11.03 |
세계로 떠난 조선의 지식인들 (이승원, 휴머니스트, 2009.) (0) | 2016.10.01 |
한국에서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의 도입과 전개과정 (김수행,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4.) (0) | 2016.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