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938)
Dog君 Blues...

지금까지 스페인 내전은 자주 좌파와 우파의 충돌로 묘사돼 왔다. 그러나 그런 설명은 지나치게 단순하며 자주 오해를 불러일으키곤 한다. 좌우의 충돌 말고도 이 전쟁에서는 두 개의 갈등 축이 더 나타나는데, 하나는 국가의 중앙집권과 지역적 독립 간의 갈등이고, 다른 하나는 권위주의와 개인의 자유 간의 갈등이다. 우파 국민 진영은 소수 예외를 제외하고난 결속력이 강한 세 가지 극단적 경향이 한데 결합했기 때문에 공화 진영에 비해 훨씬 통일성이 있었다. 그들은 모두 우익이었고, 중앙집권적이었으며, 권위주의적이었다. 반면에 공화 정부는 공존이 불가능하고, 서로가 서로를 의심하는 사람들이 한데 모여 있는 혼란의 도가니였다. 중앙집권주의자, 공산주의자로 대표되는 권위주의자들이 지역주의자, 자유주의자들과 어지럽게 한데..

이 책은 2016년 도널드 트럼프의 집권을 계기로 집필되었습니다. 사회적 소수자를 적대하고 우방을 존중하지 않으며 제도적 절차까지 의심하는(부정선거 음모론!) 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 민주주의를 침식하는 것처럼 보이는 도널드 트럼프의 부상浮上은 전세계의 모범을 자임했던 미국 정치의 일탈처럼 보입니다. 이런 식의 극단주의자 혹은 독재자가 트럼프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이 책은 알베르토 후지모리(칠레), 우고 차베스(베네수엘라) 등도 유사한 궤적을 밟았다고 지적하지요. 저자는 이들 "포퓰리즘 아웃사이더"(31쪽)는 당장의 선거에서 승리하기 위한 단기적 유혹에 빠진 기성 정치인과의 연합이나 이들의 공백을 틈타 집권한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이들을 경계할 수밖에 없는 것은 이들이 궁극적으로는 민주주의 자체를 ..

90년대 말부터 00년대 초반까지의 시기는 지적인 백화제방의 시기였던 것 같습니다. 김대중 정권이 출범하면서 확보된 제도적 공간에서 80~90년대를 거쳐 숙성된 진보적 담론이 꽃을 피웠다고나 할까요. 김규항, 진중권, 강준만, 임지현, 김정란 등, 당시에 글 좀 썼다 하는 분으로 당장 기억나는 이름만 꽤 여럿입니다. 지금 시점에서야 이들에 대해 여러 평가가 가능하겠습니다만, 어쨌거나 저(를 전후한 세대)가 그들에게서 지적인 수혜를 크게 입었던 것만큼은 부정할 수 없겠습니다. 저자인 권혁범 선생님의 글도 그 시기에 참 많이 읽었습니다. 제 손에 집히는 책과 잡지에는 그의 글 한 두개는 꼭 실려 있었던 기억이 납니다. (워메, 생산력 무엇...) 당시에 그가 주력했던 것은 민족주의 비판이었습니다. 한국현..

『태극기와 한국 교회』를 읽고, 그러면 100여 년 전 한국에서 활동한 이름없는 선교사들은 어떤 사람들이었을까 궁금해졌습니다. 어떤 활동을 하고 어떤 생각을 했으며, 어떤 태도로 한국을 대했는지, 좀체 알 기회가 없었거든요. 그러고 당장 책장을 살펴보니 이 책이 있더군요. 『조선은 우리 집이올시다』는 1897년 조선에 와서 1920년 조선에서 숨을 거둔 선교사 조세핀 캠벨(Josephine Eaton Peel Campbell)을 다룹니다. 그는 작은 교회의 목사와 결혼하여 아들과 딸 하나씩을 낳았지만 불과 몇 년 사이에 남편과 자식을 모두 잃습니다. 한 인간이 감당하기 힘든 거대한 슬픔이었지만 그는 온전히 신앙의 힘으로 이를 견뎌냅니다. 그리고는 급기야 저밀리 동아시아에서의 선교에 헌신하기로 결심합니..

1996년 개봉작인 인디펜던스 데이가 20년만에 후속작을 내고, 2000년 개봉작인 글래디에이터는 24년만에 후속작을 낸 것처럼, 2012년에 나온 『조선을 떠나며』의 후속작인 『다시 조선으로』가 12년만에 나왔습니다. 전작이 1945년 해방 직후 한반도를 떠난 재조일본인을 다루었다면 후속작은 같은 시기 한반도로 돌아온 조선인들의 이야기를 다룹니다. 책에 따르면 당시 한반도로 유입된 인구 규모가 대략 200만 명 정도로 추산된다고 하는데(37쪽) 당시의 인구규모를 생각하면 이들을 빼놓고 이 시기를 이해할 수는 없겠습니다. 해방 직후의 정치 상황은 (2000년대를 전후하여 대학가에서 주로 읽던 ㅋ) 『다시 쓰는 한국현대사』 등의 책을 통해 이미 어느 정도는 우리에게 친숙합니다. 하지만 그들 책에서 다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