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939)
Dog君 Blues...

우리나라 지명 중에 '陽'(볕 양)자가 들어간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재미있는 것은 '陽'의 뜻이 그때그때 달라진다는 겁니다. 서울의 옛 지명인 '한양(漢陽)'은 '한강[漢水]의 북쪽'이라는 뜻이지만 안양시의 관양동(冠陽洞)은 '관악산(冠岳山)의 남쪽'이라는 뜻이니 '陽'이 어떨 때는 북쪽을 의미했다가 또 어떨 때는 남쪽을 의미한다는 겁니다. 하나의 글자가 정반대의 의미를 함께 갖고 있는 셈입니다, 아이고 참. 알고보면 이유는 간단합니다. '양지바른 곳'을 뜻하는 '陽'은 강을 기준으로 하면 북쪽을 지칭하고 산을 기준으로 하면 남쪽을 지칭하기 때문이죠. 남쪽에서 해가 뜨면 강은 북쪽 사면에 양달이 생기고 산은 남쪽 사면에 양달이 생기잖습니까. 이걸 알고 나면 우리나라의 여러 지명에서 '陽'이 들어간 ..

청-조선 관계를 다룬 이 책은 제목부터 독자의 관심을 끕니다. 한국사를 더 많이 배운 한국인은 '청나라는 조선에게 무엇이었나'라고 묻기 마련이지만, 이 책은 그와 반대로 묻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단지 시선 방향을 바꾸는 것만으로도 전혀 의외의 역사상이 보이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마침 이 책의 번역자인 손성욱 선생님의 『사신을 따라 청나라에 가다』가 좋은 예입니다. 그 책의 3부에서는 숙종 대에서 영조 대까지의 왕세자(왕세제) 책봉 문제를 다루는데요, 여기서는 이 문제를 청나라 내부의 사정을 포함하여 다룹니다. 이렇게 되니 조선의 책봉 문제가 단순히 조선 내부의 정치 문제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중국을 포함한 동아시아 세계질서의 문제와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죠. 여진족이 흥기하여 대조선관계를 ..

저자가 어떤 사람인지, 이 책이 어떤 문제의식으로 쓰여졌는지는 굳이 더 말을 보탤 필요는 없겠지요. 책 좀 읽으시는 분이라면 저자의 이름을 이미 알고 계실 겁니다. 그리고 책의 내용도 충분히 짐작이 가실 겁니다. 그래서 김승섭의 책은 동어반복처럼 느껴질 수 있습니다. '아우, 또 이 얘기야?' 하고 말이죠. 새로 나온 책을 읽을 때마다 내가 미처 알지 못했던 차별이 무엇인지 내가 어디에 무신경했던 건지를 조금씩 더 알게 되긴 하지만, 근본적인 문제의식과 메시지는 책이 거듭되어도 그다지 다르지 않은 것도 사실입니다. 그럼에도 기회가 날 때마다 김승섭의 책을 읽는 것은, 그의 글이 제가 처음 공부를 시작하기로 마음먹었던 이유를 새삼 되새기게끔 하기 때문입니다. 처음 대학원에 가기로 마음 먹었을 때만 ..

해방부터 정부 수립에 이르기까지는 반공주의가 득세하면서 사상적 다양성이 거세되고 미국과 친미세력을 중심으로 정치가 재편되는 시기였습니다. 한국전쟁까지 거치면서 이런 경향은 더 강화되었습니다. 그러다보니 1950년대는 이승만 정권의 독재와 반공주의로만 설명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1950년대를 이야기할 때 사사오입 정도 말고는 딱히 머리에 떠오르는 것이 없다면 그게 아마 그 때문일 겁니다. 하지만 1950년대는 그렇게 간단히 처리될 시기가 아닙니다. 식민지배와 한국전쟁으로 피폐해진 나라를 하루 속히 '근대화'시켜야 한다는 강박이 한국 사회를 지배했을 것입니다. 여기서 1950년대의 한국 사회를 분석하고 또 나아갈 길을 모색한 사회과학계가 추구한 것이 무엇이며 또 그것들이 어떤 과정을 통해 형성되었는지를 ..

특별히 똑똑하지도 성실하지도 못했던 탕수육에게 대학원 생활은 결코 녹록치 않았습니다. 매주 반복되는 수업 진도 따라가는 것만으로도 벅찬 나날이었습니다. 그러고도 결과물은 남들에 크게 못미치는 것들이어서 자괴감도 심했구요. 그럼에도 대학원 생활 내내 신선한 지적 자극에 노출될 수 있었던 것은 그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큰 즐거움이었습니다. 일상사, 트랜스내셔널 히스토리, 캘리포니아 학파 등, 각 분야의 최전선에서 활동하시던 교수님들로부터 받았던 다양한 지적 자극과 충격은 대학원 생활의 어려움을 상쇄할만큼 컸습니다. (지금의 팟캐스트도 어쩌면 그때의 경험 덕분입니다 ㅋ) 지금 와서 돌이켜보면, 그런 지적 자극들은 '전형적이고 정형화된 서사를 넘어서기 위한 노력'이이라고 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여기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