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939)
Dog君 Blues...

(...) 이봉규는 오늘날 저명한 사회과학자들의 1960년대 초 중반의 근대성 모색이 어떠했나를 잘 보여준다. 윤천주, 차기벽, 이만갑 등 우리에게 익숙한 대가들이 등장하는데, 그 이름만으로 독자의 흥미를 불러일으킬지 모른다. 이들의 글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당대 존재했던 많은 사회과학자들이 추구한 근대성이란 결국 산업화가 우선시되는 발전이었다는 점이다. 그 속에서 형식적 민주주의는 '서구'라는 수식이 붙어 상대적으로 우선순위에서 배제되며, 전통 역시 발전주의에 호응하는 요소들만이 재전유될 따름이다. (...) (한봉석, 「책머리에」, 7쪽.)

(...) 이론적 논의에서 실천의 기술까지 아우르면서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학회 설립 및 저널 발간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때, 다른 역사학 분야와 달리 공공역사 연구에서는 역사학자, 공공역사가, 역사애호가들까지 아우르는 독자를 상정하고 글을 쓸 필요가 있다. 따라서 내용에 따라 학문적 글쓰기보다는 비평적 글쓰기(critical review)가 더 유용할 수 있다. 1987년 창간된 『역사비평』이 초창기에 가졌던 콘셉트, 곧 대중들도 읽을 수 있는 역사 이슈에 대한 비평지로서의 정체성이 점차 희미해지고 최근으로 올수록 다른 학술지와의 차별성이 약화되고 있는 것은 아쉬운 대목이다. 이는 정량적 평가가 잣대가 되는 한국 학술계 전체의 문제에 기인한 것이지만, 그로 인해 역사학계는 비평적 글쓰..

학술지를 읽는 것은 늘 즐겁습니다. 동료 연구자들의 최근 관심사를 확인할 수 있을 뿐더러 연구자로서 자극도 많이 받거든요. 『역사비평』 147호의 특집 '사이비역사학 비판과 비판 너머의 역사쓰기'와 148호에 게재된 김태현·김재원의 「학교에서 태어나 미디어가 키운 '공공역사', 중국을 혐오하다」를 함께 읽으면서는 이들 문제를 말할 때 이제는 논점이 좀 더 확장되어야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이 둘이 대상으로 삼은 사이비역사학 비판과 미디어 비평이, 여전히 민족주의적 편견에 대한 비판에서 머무는 것 같거든요. 이러한 비판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만, 뭐랄까요, 이제는 너무 익숙해진데다가 논평이 계속 제자리를 맴돌다가 고인물이 되는 것 같다는 인상을 받았습니다. 그런 점에서 저는 147호에 게재된 기경량의..

사료史料로서의 소설, 사진, 영화, 만화, 온라인콘텐츠에 대한 분석의 가능성과 방법론을 모색한 이 책의 내용은, 쓰여진지 20여년이 지난 지금 보면 아주 새롭지는 않습니다. 그러니 비전공 독자가 이제 와서 이 책을 굳이 찾아 읽을 이유는 없어 보입니다. 하지만 사료로서가 아니라, 분석의 대상(텍스트)으로서의 소설, 사진, 영화, 만화, 온라인콘텐츠에 대해 여전히 적절한 수준의 방법론을 가지지 못한 역사학에게는 (이하나, 「한국 공공역사 연구의 가능성과 지향」, 『역사비평』 148, 2024.) 아직 이 책이 필요해보입니다. 게다가 이 책이 나온 이후로 사료와 텍스트의 범위는 더 확장되었기에 비평에 대한 고민은 더 깊게 요구될 겁니다. 유튜브의 대중화와 '짤meme'의 범람은 역사학이 그간 묵수했던 ..

책을 읽으면서 적잖이 당황했습니다. 사회적 소수자에 대해 아주 모르는 것은 아니라고 내심 자부하고 있었는데, 미등록이주민에 대해서는 정말 아무 것도 몰랐다는 것을 이 책을 읽고서야 깨달았습니다. 저는 미등록이주아동이라고 하면 그저 불법체류자가 낳았기 때문에 교육이나 의료에 대해 아무런 권리도 누리지 못하는, '서류상으로 존재하지 않는' 아이들이라고만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이런 저의 생각은 한참이나 부족하고 왜곡된 것이었습니다. 무엇보다 미등록이주아동이 고등학교까지 다닐 수 있다는 것도 몰랐습니다. 고등학교까지라도 다닐 수 있으니 다행이라는게 아닙니다. 미등록이주아동은 그렇게 평범한 모습으로 제 주변에 이미 오래 전부터 존재하고 있었다는 것을 저는 그제서야 깨달았다는 겁니다. 하긴, 제가 무심코 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