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930)
Dog君 Blues...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oyGo/btq9yNkChSI/7aDijqLmfAbjkk2YYkpXgK/img.jpg)
1. '세대론' 책에는 좀처럼 손이 안 간다. 『88만원 세대』가 나왔을 때는 이야, 하면서 읽었지만 그 이후로 쏟아져 나온 '세대론'(혹은 '세대'를 전면에 내세운) 책은 대체로 다 불만족스러웠다. '내가 더 좆됐어요' 내지는 '이 새끼들아, 이게 다 너네들 때문이다'에서 딱히 더 나아가는 것이 없었기 때문이다. 나에게 '세대론'이란 『88만원 세대』 이래로 주어와 목적어만 몇 군데 바뀌었을 뿐 서술어는 거의 그대로인채로 똑같은 소리만 반복하는 것처럼 느껴진다. 2021년 현재까지도 이런 경향은 그대로인데, 『K를 생각...』 같은 괴작에 쏟아지는 세간의 관심과 상찬을 보면 당분간 나아질 전망도 안 보인다. 2. '세대'를 말하고 있기는 『추월의 시대』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이 책에는 '내가 더 좆됐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Du3aV/btq8H4187UT/qWgNnD0p3Rw4G7dp1U2KlK/img.jpg)
사료史料로 인용되는 사진 중에 간혹 그런 사진이 있다. 너무 유명해서 못 찾는 사진. 위 사진이 꼭 그렇다. 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군중대회에서 찍힌 사진이다. 현대사 책 좀 보신 분이라면 낯이 익을거다. 김일성이 이 날 대중 앞에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냈기 때문이다. 그래서 관련 책에서 이 사진이 상당히 자주 나온다. 그런데 막상 이 사진의 정확한 출처를 찾으려고 하면… 안 나온다... 블로그고 언론기사고 엄청 많이 나오기는 하는데 제대로 출처를 밝힌 경우가 거의 없다. 드물게 출처를 밝힌다 해도 그냥 '자료사진' 정도로 하는 경우가 많다. 하다 못해 이 사진이 처음 실렸던 당시의 신문기사가 있다면 그걸 이야기해줘도 되련만 글쎄, 여기저기서 인용은 많이 하는데 도통 출처가 안 나온다. 물..
'포스트post'니 '탈脫'이니 '후기後期'니 하는 접두어가 엄청 유행했던 적이 있다. 문사철 공히 이 말들이 히트를 쳤는데, 모두들 '포스트'를 입에 올리며 호랑이 기운을 얻으려 했고, 인문대 강의실에는 지마켓보다 더 많은 '후기'들이 넘쳐났고, 하도 '탈'이 많이 나와서 인문대 앞마당에 윤문식 김성녀가 매일 같이 마당극 순회공연을 하나 싶고 막 그랬다. 지금 생각하면 아이고 의미 없다 뭐 요런 느낌이지만, 그때는 거대담론을 해체한다는둥 사실과 허구의 경계를 허문다는둥 해서 와 XX 이거 뭔가 새세상이 오는 건가, 역사학의 근간이 완전히 새롭게 바뀌는 건가, 그러면 우리 과도 없어지는 거 아닌가 뭐 그런 얘기들을 (잘 알지도 못하면서) 주워섬기며 놀던/마시고 그랬다. 그 와중에 뭐 식민지근대성론이나 서..
어디 다른 곳에도 썼던 것을 그대로 옮겨온다. (어차피 이 블로그야 지극히 사적인 아카이브 정도 의미니까…) 그래서 말투가 좀 이상하긴 하다. 여기에 쓰지는 않았지만 발의에 참여한 12명의 면면도 살짝 실망스럽다. 대부분이 70년대 후반~80년대생으로 비교적 젊은 축에 속하는데 그들이 힘을 모아 발의한 것이 이런 거라니… 그것도 그것대로 또 실망이다. ——— 민주당 김용민 의원 등 12명이 발의한 '역사왜곡방지법안'에 대한 제 생각을 좀 길게 써볼까 합니다. 이 법안에 대해 한국역사연구회 등 역사학 관련 단체 명의로 비판 성명이 발표되기도 했습니다. 성명문이 그다지 길지 않은 탓에 성명문의 바탕에 깔린 생각까지 사람들에게 충분히 전달되지 않았을 것 같다는 느낌이 들어서 좀 길게 부연설명을 해볼까 합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WHm6V/btq7ivlSsaB/6JNEQ6x97XN5rej1XeynY1/img.jpg)
독서가 직업의 일부가 된지 오래지만, 어떤 책이 좋은 책인지 알아보는 감각은 여전히도 무디다. 특별히 책 읽는 속도가 빠르거나 이해력이 좋은 것도 아니라서, 범람하는 책의 홍수 속에서 좋은 책을 골라내는 일은 언제나 어렵다. 그래서 어떤 책을 읽을지 고민할 때 사람들의 추천에 많이 의지한다. 꾸준히 듣는 책 관련 팟캐스트의 추천도서를 사기도 하고, SNS에서 존중할만한 분들이 추천하는 책도 눈여겨봐둔다. 그렇게 추천하는 책들만 따라 읽어도 독서리스트가 차고 넘친다. 그런 경로를 통해 상찬을 받는 책이, 막상 읽어보니 도무지 흡족한 구석이라고는 없을 때 무척 당혹스럽다. 내가 평소에 존중했던 그 분들은 대체 어디가 마음에 들어서 이 책을 칭찬하고 추천사를 쓰셨을까. 짜임새는 헐겁고, 논리는 널을 뛰며,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