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928)
Dog君 Blues...
사료를 물리적으로 대하는 태도에서 시작해서, 사료를 역사학적으로 대하는 태도에 대한 이야기까지 이어진다. 아카이브 작업을 직업의 일부로 삼은 역사학 연구자라면 누구나 공감할만한 책이다. 대중적으로 반향을 얻을만한 책은 아니지만 사료 앞에 섰을 때의 막막함을 느껴본 (즉, 글쓰기의 고통에 시달려본) 역사학 연구자에게는 깊숙한 공감을 얻을만하다. 한여름에 만져도 얼음처럼 차갑다. 눈이 해독하는 동안 손은 점점 얼어붙어 간다. 손끝은 양피지 아니면 래그 페이퍼의 차가운 먼지로 점점 검어진다. 꼼꼼하고 가지런한 글자들로 차려입었지만, 미숙련자의 눈으로는 거의 해독 불가능하다. 열람실 책상에 등장할 때는 대개 두툼한 종이 뭉치의 모습을 하고 있다. 허리 부분은 가는 끈으로, 아니면 굵은 띠로 묶여 있고, 모서리 ..
뇌피셜 하지들 마시라고 역사학에서 그렇게나 연구해놨는데 이렇게 뇌피셜로만 점철된 책이 아직도 나오고, 심지어 잘 팔리기까지 하니 마음이 영 언짢다. 세대론 관련해서는 사둔 책도 안 읽을 확률이 100%가 되었으니 어디 내다 팔든가 해야겠다. 이제부터 나는 쌀로, 더 정확히는 쌀을 재배하는 문화와 시스템으로 많은 것을 설명할 것이다. 바로 '쌀 이론rice theory'의 수립이다. (...) 나는 쌀 이론을 통해 오늘의 한국 사회의 구조와 그 부산물들을 파헤칠 것이다. 그 목록은 위계 구조와 불평등, 불평등에 대한 인식, 급속한 경제 발전, 협력과 경쟁의 공존, 행복과 질시, 교육열과 사회이동, 노동시장 구조, 성차별, 연공 문화의 존속 그리고 소통의 문화까지 포괄한다. (48쪽.) 나는 지금..
세대가 어쩌고 저쩌고 하는 책 치고 (극히 일부를 제외하고는) 마음에 드는 것이 없다. 저자는 아마도 90년대 후반 언제쯤 한국을 떠나서 얼마 전에 한국에 돌아오신 것 같은데, 생각이 딱 그 때에 멈춰계신 듯. 글쎄, 더 이상은 논평할 필요를 느끼지 못하겠다. (...) 한국 사회에서 '세대'란 역사적 경험과 기억을 공유하는 집단 그 이상의 것, 즉 '자원 동원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와 자원을 주고받는 '품앗이 네트워크'로서, 다시 말해 '경제 공동체'란 이야기다. (...) (33쪽.) 산업화 세대가 경제성장의 수혜를 40대에 진입하면서 최초의 자산 축적을 통해 경험했다면, 386세대는 70~80년대를 한층 넉넉해진 가정경제, 넘치는 일자리, 더 늘어난 계층 상승의 기회..
어디서 황정은을 두고 리얼리즘이라는 평을 들었던 것 같다. 문학이나 예술을 하나도 모르는 나는 리얼리즘이란 대체로 세상의 참혹함을 있는 그대로(real하게) 보여주는 작품이라는 뜻 정도로 이해한다. 그래서 리얼리즘에서 보여주는 세상이란 황폐하고 희망 없는 공간이기 마련이고, 책/화면/캔버스 속으로 최대한 비집고 들어가도 결국에는 지금 내가 속한 세상과 별반 다를 것 없는 세상이 또다시 펼쳐지는 것 같다. 평소에 느끼는 것을 그대로 또 느끼는 뭐 그런 느낌적인 느낌. 그래서 다 읽고/보고 나면 어딘지 모를 불편함과 막막함만 남는 것 같다. 그런데 그게 현실(real)인 것을 어쩌겠나 싶다. 역사에서 보는 세상이 대체로 그러하다. 언제나 현실은 악독하고 냉정하다. 때로는 보통 사람조차도 다시 없을 악마가..
"이것은 조작한 것이 아닙니다. 남이 대신 뛰어준 것도 아닙니다. 한 번에 10km 뛰는 것도 쉽지 않습니다. 어쩌다 맑은 날 아침마다 몇km씩 모았습니다. 이렇게 몇백km를 뛰어 마일스톤 하나와 바꾸었습니다. 이러기를 몇번을 하여 겨우 이 귀한 '블랙 레벨'을 갖게 되었습니다. 이걸 얻느라고 일 년 다섯 달이 더 걸렸습니다." 4월 20일 아침의 일이다. 첫 2,500km를 뛰는데는 1년 5개월이 걸렸는데, 다시 2,500km를 더 뛰는데는 2년 6개월이 걸렸다. (학위논문 쓰느라 그랬나.) 다른 사람에 비길만한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기쁘다. 잘 할 자신은 없지만 오래 할 자신은 있다. 그리고, 달리기 속도도 추가. 바로 앞의 글에서 달리기 능력이 속도가 거의 초기화되었다고 했는데 그리고 석달 가까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