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930)
Dog君 Blues...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VC67V/btq5na5lXXp/6fB8PXttu3kaP8SMDPKCMK/img.jpg)
역사 속의 굵직굵직한 주제 중에, 의외로 개설서를 찾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대표적인 예로 중국의 문화혁명을 들 수 있겠다. 문화혁명을 직간접적으로 다루는 책은 무척 많지만 문화혁명의 전반을 파악할 수 있는 개설서는 거의 찾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그보다는 문혁에 대한 평가에만 집중하거나 그 와중에 있었던 에피소드 같은 것에 집중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독자 입장에서 이런 상황이 정말 난감하다. 사칙연산도 안 배웠는데 함수부터 들이미는 느낌이랄까. 베트남전쟁도 비슷하다. 베트남전에 대한 이야기와 책은 정말 많다. 고엽제 피해를 입은 군인들, 전쟁 중에 자행된 민간인 학살들, 전쟁 특수로 돈을 벌어 재벌이 된 사업가들 등등. 하지만 의외로 베트남전의 전체적인 양상과 한국과의 관계를 전체적으로 서술한 개설서는..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x3BIX/btq5kYD75ob/xeL0BleJ5UzvKGSAFClI0k/img.jpg)
라면 먹을 때는 김치가, 피자 먹을 땐 콜라나 사이다가 있어야 된다. 그러지 않고 라면 옆에 간장을 내놓거나 피자에 김치를 곁들였다가는 음식의 도를 모르는 놈이라고 얼마나 타박을 들을까;; (아, 물론 그런 취향을 가진 분도 분명히 어딘가에 있긴 할테니 그 분은 제외...) 역사학에도 그런 조합이 있다. 어느 시대 어느 분야를 공부하려면 반드시 일독해야 한다거나, 그 책을 인용하지 않고서는 좀처럼 앞으로 나아갈 수 없는 그런 책이 꼭 하나씩 있거든. 『사기』나 『삼국사기』처럼 이미 그 자체로 사료(史料)가 된 책도 있지만 지금 이 시대에 한창 활동하고 있는 연구자들이 쓴 연구서 중에도 그런 책이 있다. 최근에 (다시) 읽은 『미국의 대한경제원조정책 1948~1960』이 정확히 그렇다. 이 책은 1950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8luIa/btq5ogEiAEH/aBL265lccyqv9qxcGHAku1/img.jpg)
의외로 해방 정국에 대한 균형감각이 좋다. 어떤 면에서 보면 최근의 역사감각이 오히려 이에 비해 퇴보한 느낌이랄까. 1989년에 나온 책을 두고 지금 와서 직접 논평을 붙이기는 좀 그렇다만은, 나중에 언젠가 이 책에 대한 이야기를 다시 할 일이 있을 것이다. (...) 정국은 반탁과 찬탁으로 양분되어 신탁통치문제에 대해 중간적인 입장을 취할 수 있는 여지는 좁혀지고 말았다. 3상회의결정에 규정된 신탁통치를 식민통치와 유사한 것이라고 여겨 민족적 자존심에 비추어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반대한 진영이나, 한반도문제의 유일한 해결책으로서 전면적으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찬탁진영 앞에서 중간이란 용납되기 어려웠던 것이다. 이로써 3상회의결정의 의의와 내용을 냉철하게 분석하여 합리적인 대안을 제시하는 자세가 수용되기 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oQKCJ/btq5i3MrE1H/DFEwp1WIu6UDaJQkAc7Oh0/img.jpg)
한국전쟁의 연구 경향은 대체로 전체주의-수정주의-신수정주의 순으로 진행되었다고 정리된다. 세 관점 모두 각각의 맥락과 입장이 다르지만 한국전쟁의 원인이나 구조, 연원 등에 연구의 초점을 두는 거시적인 연구라는 점에서는 공통적이다. 그러다가 90년대 이후 구술사oral history 연구방법이 도입되면서 한국전쟁 연구는 큰 전환을 맞는다. 물론 애초의 한국전쟁 경험에 대한 구술 연구는 연구 그 자체가 목적이라기보다는 민간인 학살에 대한 진상규명 차원에서 시작되었다. 하지만 한국전쟁 구술 연구는 기존 역사학에서 미처 포착하지 못했던 미시적이고 주관적인 세계, 즉 소문자 역사에 대한 관심으로 폭이 확대되면서 한국전쟁의 다양한 측면을 드러내는 연구방법론으로 자리매김했다. 『마을로 간 한국전쟁』은 바로 이런 흐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srYs5/btq5pXqreyP/9mLukhdEYgrPqyhbkKlLd0/img.jpg)
역사 연구가 여론의 쟁점으로 떠오르는 일이 1년에 몇 번이나 있을까. 아마 별로 없을걸. 하지만 잊을만하면 어김없이 등장하는 그 분, '식민지 근대화론'이 등장하는 그 순간만큼은 역사학이 당당히 자기 존재감을 뽐내는 순간이다. '식민지 근대화론'이 그렇게 영향력이 큰 것은 아마도 식민지를 바라보는 우리의 관점이 곧 지금의 정치적 성향과 직결되어 있기 때문일 거다. 또한 식민지가 우리에게 남긴 역사적 트라우마가 그만큼 크다는 뜻이기도 하겠지. 개인적으로는 '근대화론이냐 수탈론이냐'는 식으로 나뉜 이분법적 구도를 무척 싫어한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섣불리 양비론을 펼치고 싶은 마음도 없다. 지금의 시점에서 볼 때 근대화론과 수탈론이 현실에서 가지는 정치적 효과가 동일하다고 보지는 않기 때문이다. '근대화/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