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928)
Dog君 Blues...
저의 세번째 이펙터입니다. 첫번째는 지난번에도 이야기했던 DS-1이고, 두번째는 오버드라이브 이펙터, SD-1. SD-1에 대해서는 사실 큰 감흥이 생길 수가 없는게 아직 이 녀석을 어떻게 써야할지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도 안 잡혔기 때문에 길게 글을 쓰기가 어렵겠네요. 그건 다음기회를 노리기로 하고... 요놈은 일렉기타의 소리에 '코러스'라는 효과를 넣어주는 기계 되겠습니다. 코러스라는건 한 음을 이루는 파형을 일정한 간격으로 분해해서 울림 혹은 떨림 비슷한 효과를 줍니다. (물론 울림과는 분명히 다릅니다.) 사실 저도 구체적인 원리에 대해서는 다소 피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관계로 이론 부분은 이 정도로... (사실 이 설명이 정확히 맞는건지도 알 수 없습니다!) CE-3의 특징은 무엇보다도 따뜻한 사운..
일렉기타라는 것은 간단히 말해서 현에서 울리는 소리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기계라고도 말할 수 있습니다. 그냥 현이 울리는 소리가 아닌 '전기신호'이기 때문에 그 소리를 인위적으로 왜곡시키는 것이 가능합니다. 특별한 기술이 없어도 동일한 기타에서 여러 종류의 소리가 날 수 있는 것이 바로 일렉기타만의 강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왜곡'을 가능케하는 장비를 흔히 '이펙터'라고 합니다. 이펙터는 여러 형태가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발로 밟는 페달 형태의 이펙터를 흔히 사용합니다. (밴드 공연을 가까이에서 본 적이 있다면 기타리스트가 중간중간에 페달을 밟는 모습을 보았을 것입니다.) 이런 이펙터를 흔히 '꾹꾹이'라고 부르죠. 제가 최초로 장만한 꾹꾹이가 바로 요놈입니다. Boss사에서 나온 DS-1이라는 기..
기타를 배운다는 것은 정말이지 귀찮고 어렵고 힘들고 지루하고 짜증나는 일이다. 솔직히 말해서 하루에도 몇번씩 기타를 내던지고 싶은 정도다. 1-2-3-4, 1-2-3-4... 기타 제일 처음 치는 날부터 시작하는 크로매틱은 그 얼마나 단조롭고 심심한 연습인가. 게다가 힘들기로 치면 제일 힘들다. 단순한 패턴이지만 굉장한 악력의 소유자가 아니고서는 크로매틱 한번 하고 나면 손바닥 근육의 통증에, 당분간 인상 안 쓰고는 못 배긴다. 도-레-미-파-솔-라-시-도... 간단한 C major 스케일이지만 먼 훗날의 애드립을 위해 이것 역시 어느 정도 숙달시켜놓지 않으면 곤란해진다. 물론 복잡한 스케일까지 알아둘 필요는 없지만, C major 스케일은 스케일의 기본 중의 기본이다. 아무리 그래도 이 정도는 해놔야 ..
1. 즐겨듣는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DJ는 친구의 입을 빌려 느림의 미학을 이야기했다. 그는 불과 백여년전의 조상들에 비해 두배가 훨씬 넘는 삶의 시간을 부여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그들보다 몇배는 더 바쁘고 조급하게 살아가는 작금의 세태를 이야기했다. 가벼운듯 하면서도 무게중심을 잃지 않는 그 '노회한' DJ의 입에서 나오는 이야기였기에 그 설득력은 상당했다. 2-1. 십자수의 가장 큰 미덕 중 하나는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사실이다. 하나의 작품을 완성하기 위해 투자한 시간은 곧 '노력'이라는 단어로 번역될 수 있으며, 그 노력은 완성자에게는 보람으로, 선물받는 사람에게는 감동으로 형질전환된다. 2-2. 물론 그 점은 십자수의 가장 큰 단점이기도 하다. 대체 언제 완성될지도 모르는 도안과 바탕천을 붙들고 ..
1-1. 이 책을 산 이유는 두 가지다. 우연히 발견한 (문학동네 출판사에서 직접 운영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카페에서 무척 저렴한 가격으로 이 책을 팔고 있었기 때문이 첫번째이고, 고교 시절 문학 문제집에서 읽었지만 그 출처는 잊어버리고 말았던 몇몇 문장들이 김승옥의 소설 '서울 1964년 겨울'의 첫머리임을 우연히 알게 된 것이 두번째이다. 그리고 읽다보니 '누이를 이해하기 위하여'도 언젠가 인상깊게 읽었지만 그 출처를 잊어버렸던 문장들이었음이 기억났다. 2-1. 고교 시절, 나의 환상은 '서울'과 '어른'에 있었다. TV를 통해서, 혹은 몇 년에 한 번 정도 서울의 친척집에 갈 일이 있을 때에만 제한적으로 보고 들었던 '서울'은 (내가 살던 지방 중소도시에는 없는) 다양한 물건들과 사람들과 분위기들이..